2025년을 맞이하여 30년 전 예측한 현재에 대한 재미있는 기사가 있어서 소개해 드리고 싶어서 가져왔습니다.
BBC 프로그램 '미래의 세상'(Tomorrow's World)은 1995년에 당시로부터 30년 후인 2025년의 세상은 어떤 모습일지 예측을 했었다.
지금은 더 이상 방송되지 않는 이 프로그램에는 당대 가장 저명한 과학자라 할 수 있었던 스티븐 호킹 교수가 출연했다. 그는 프로그램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2025년쯤이면 커다란 변화들이 일어나리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의 다른 출연자들도 호킹 교수의 말에 동의하며, 홀로그램을 이용한 외과 수술부터 우주 쓰레기 젤에 이르기까지 세상을 뒤흔들 다수의 혁신이 나올 것이라 예측했다.
그로부터 30년이 흘렀다. 지난 30년간 실제로 일어난 변화와 전문가들의 도움을 바탕으로, 미래의 세상 프로그램이 오늘날의 세상을 얼마나 잘 예측했는지 살펴보자.
2005년의 '사이버 공간 폭동'
폭동 한가운데서 불타는 자동차
사진 설명,이 프로그램은 금융 시장이 "바이러스 테러에 굴복"한 후 폭동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1995년은 월드와이드웹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시작한 해다. 따라서 미래의 세상은 이러한 발전이 훗날 문제를 일으킬 것이라 전망했다.
프로그램은 2000년쯤이면 "산업계의 거물들"과 은행들이 대중의 접근을 통제하는 "슈퍼넷"을 만들어 인터넷을 장악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리고 이로 인해 해킹과 바이러스 문제, 심지어 폭동까지 벌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래의 세상'(Tomorrow's World)은 '슈퍼넷'이 만들어진 후 폭동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평가 결과 - 인터넷은 거의 대부분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사이버 공간에서 폭동은 일어나지 않았다. 하지만 해커들의 활동이 많은 사람들을 불행하게 만들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당시 프로그램 미래의 세상이 예측하지 못한 것중 한 가지는 BBC 팟캐스트 "라자루스 강도 사건"에서 다룬 북한과 같은 국가들이 주도하는 해킹이었다.
사이버 보안은 정부와 기업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다. 오늘날 은행을 신뢰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를 옹호하고 있다.
미래의 어느 날을 배경으로 한 남성(멋진 VR 헤드셋을 착용)과 그의 아내, 어린 소녀가 흡사 오늘날의 런던처럼 보이는 곳에서 이야기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 장면에서는 여성의 얼굴 홀로그램이 "스마트 스피커"에서 나와 남자에게 "인도의 디즈니"로 휴가를 다녀온 지 1년이 지났다고 말한다. 그러고는 남자에게 40분밖에 걸리지 않는 "방갈로르행 셔틀"을 이용해 또 휴가를 가자고 권유한다.
평가 결과 - 초고속 여행은 여전히 먼 미래에나 가능한 일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홀로그램과 스마트 스피커, VR 헤드셋은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다.
팔에 심은 마이크로칩을 이용하는 은행 서비스
바랜드 은행이라는 간판이 있는 미래 은행에서 홀로그램과 대화하는 한 여성
사진 설명,팔에 이식한 칩으로 돈을 인출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프로그램에는 은행의 미래를 그려보는 부분도 있었다.
은행의 미래상을 보여주는 장면에서는 은행에 간 한 여성이 인간 은행원이 없다고 불평하며 100유로를 인출한다. 인간이 없는 은행은 여성의 팔에 있는 마이크로칩을 스캔한 후 인출금을 내준다.
평가 결과 - 은행 업무가 점점 더 자동화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인체 내부의 마이크로칩을 통한 결제도 현실화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지문 및 얼굴 스캔과 같은 다른 기술이 훨씬 더 널리 쓰이고 있다.
'미래의 세상'(Tomorrow's World)은 2025년까지 자율주행 자동차의 도입과 전기차 실패를 예견했다
세계적인 정원사 몬티 돈은 30년 전 미래의 세상을 진행했던 진행자 중 한 명이었다. 그가 진행하는 부문에서는 유전공학과 다층 농업 시설을 통해 영국의 삼림이 대대적으로 복원되고 불곰을 비롯한 야생 동물들이 돌아올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몬티 돈은 B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지금 생각해 보면 프로그램에서 자신이 참여한 분야는 "유토피아적이고 순진했다"고 말했다.
향후 30년을 전망하면서 그는 현세대 젊은이들이 "기후 변화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받는다"며 2055년쯤이면 사람들이 직접 재배해서 먹는 식량들이 더 많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래의 세상 프로그램은 말 그대로 인류가 세상을 변화시키고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반면 그 이후 실제 우리가 배운 것은 인류는 상황을 특히 환경 측면에서 상황을 악화시키는 습관을 지니고 있다는 것과 우리는 자연을 수정하고 통제하기보다는 자연과 함께 살아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몬티 돈의 말이다.
몬티 돈과 불곰
사진 설명,1995년 방송된 프로그램에서 몬티 돈은 갈색곰 재도입에 관해 이야기했다
당시 이 프로그램의 또 다른 진행자였던 비비안 패리는 의학 부문을 진행했었다.
그는 과거 프로그램을 촬영했던 것과 다소 제약이 있었던 당시의 시각 효과를 애틋한 추억으로 갖고 있다. "(촬영 중에) 저는 꼼짝도 하지 말고 있어야 했어요. 작은 카메라가 달린 안경을 검은색의 끈적끈적한 물질을 사용해 제 얼굴에 고정시켰어요. 그러다가 엄청나게 더운 날이었는데, 검은색 물질이 얼굴을 타고 흘러내린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도 저는 움직일 수가 없었어요. 결국 분장사들이 탈지면이 달린 긴 지팡이를 들고 와서 접착 물질을 지워줬어요."
비비안은 2013년부터 '제노믹스 잉글랜드'에서 일하며, 유전 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돕는 연구를 진행했다. 그는 이 연구를 진행하면서 1995년 당시 미래의 세상이 유전체 염기서열에 대해 예측한 것 중 중 일부가 실현되었음을 실감했다고 말했다.
1995년 '미래의 세상'(Tomorrow's World) 프로그램 진행자 비비안 패리
사진 설명,"저 검은 얼룩이 보이나요?" 이 장면을 촬영할 때 비비안 패리와 메이크업 팀이 창의력을 발휘했다
그렇다면 2055년의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
미래학자 트레이시 팔로우스는 1995년 당시 프로그램이 미래와 관련된 여러 가지 주요 아이디어들을 프로그램에 반영했지만, 지난 30년간 나타난 커다란 주제 두 가지인 빅테크와 소셜미디어의 확산은 놓쳤다고 말했다.
그는 2055년쯤이면 많은 사람이 "인지적으로 연결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인지적 연결이란 서버를 활용해 인간들과 기술의 정신적 측면을 연결하는 것인데, 그는 이것이 아이디어 공유에 도움이 되리라 전망했다.
"브레인스토밍이 말 그대로 아이디어를 생각하면서 공유하는 브레인스토밍이 될 것입니다."
또 다른 미래학자 톰 치즈 라이트는 30년 후와 관련해 가장 흥미로운 두 가지 전망은 재료 과학과 생명 공학이라고 말했다.
그는 재료 과학 분야 더 강하면서 가볍고 얇은 장치가 나오면 세상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엄격한 규제와 결합된 생명공학은 의학을 혁신하고 "탈탄소, 깨끗한 물과 식량 확보 등 인류가 직면한 가장 커다란 문제"를 해결할 힘을 갖고 있으리라는 게 그의 예측이다.
그렇다면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은 30년 후의 세상이 어떤 모습이 될 것이라 생각하는가?
어떤 대답을 하든, 30년 전 호킹 교수가 미래의 세상에서 한 말을 염두에 두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 중 일부는 매우 흥미진진할 것이고, 일부는 걱정스러울 것입니다. 한 가지 확신할 수 있는 것은 우리가 예상했던 것과는 매우 다를 것이라는 점이죠."
출처는 https://www.bbc.com/korean/articles/c1kexl83eddo 입니다.
'정보 이상 무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 명절 앞두고 이슈인 온누리 상품권이란? (0) | 2025.01.10 |
---|---|
2025년 을사년 한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 (2) | 2025.01.10 |
겨울 한파 쉼터와 난방용품 (2) | 2025.01.10 |
추운겨울을 따뜻하게 도와주는 에너지바우처 (4) | 2025.01.09 |
2025년 을사년 무엇이 달라지나요 (2) | 2025.01.09 |